1. 모래놀이란?
모래를 가지고 놀이를 시작할 때 만지고, 파보고, 떠보고, 물을 뿌려 축축해진 흙으로 무언가를 만들 때 자신의 손을 이용하는 것만으로도 만족을 가진다. 모래는 사용법이 정해져 있지 않아 부담을 가지지 않고 즐겁게 집중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2. 모래놀이의 치료효과
모래놀이를 통하여 이전에 경험한 것을 재현하고 감정을 표출하면서 스스로를 수용하게 되는 긍정적 정서를 가질 수 있으며 과잉행동이나 주의력 결핍 아동이 모래놀이를 통해 집중하면서 주의력 결핍 감소가 나타났다고 한다. 또한 과잉행동 감소의 효과가 나타났고 충동성 감소도 나타났다고 한다.
3. 모래놀이와 언어
모래놀이를 통하여 대화를 나누고 게임을 하면서 언어발달에도 효과가 있다고 한다. 작품을 만들며 노래를 부르거나 작품에 대하여 설명 등을 하면서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고 한다.
4. 모래놀이 교구
모래 상자, 삽, 다양한 모래용기, 조각칼, 다양한 모양의 찍기 도구 (하트, 동그라미 등), 모형도구 (다양한 동물과 다양한 장난감 등의 피규어 형태), 실물 도구 등이 필요하다.
5. 모래놀이를 통한 언어확장 방법
1. 처음 모래놀이를 접한 아동이라면 거부감이 들지 않도록 보호자가 먼저 모래를 가지고 놀이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모래, 이거)
2. 다양한 크기의 모래용기에 모래를 가득 담아 누른 뒤에 형태를 유지하며 뺀 후 모래의 여러가지 형태를 비교하며 보여준다. (눌러, 빼, 넣어)
3. 다양한 색모래가 있다면 숟가락 등으로 색깔별로 분류한다. 스케치북에 물풀로 그림을 그린 다음 모래를 뿌린다. (뿌려, 빨간색, 풀)
4. 모래상자에 아동이 원하는 식물, 동물, 교통수단 등으로 꾸며본다. (나무, 꽃, 차)
5. 케이크 모양을 만들어 초를 켜고 생일 축하 노래를 부르고 조각칼로 잘라본다. (케이크, 꺼, 켜, 불, 만들어)
6. 보석 모형이나 악세사리 등을 모래 안에 넣고 아동이 찾을 수 있도록한다. 찾으면 도장 등으로 강화한다. (어디있지? 찾았다)
이 외에도 두꺼비집 만들기, 모양 찍기, 동물원 놀이, 소꿉놀이 등을 통하여 다양한 언어로 확장시킬 수 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하여 아동은 촉각, 시각적 자극을 받아 다양한 모양을 인지하고 비교할 수 있다. 또한 스스로 만든 작품을 통하여 성취감과 만족감을 느낄 수 있고 다양한 모형을 명명하고 나아가 설명하면서 화용언어향상의 효과도 나타날 수 있다.
모래놀이는 집에서 하기엔 조금 어려울 수 있는 주제입니다. 뒷처리가 힘들어서 모래놀이가 있는 집도 잘 꺼내주지 않는다고 하시는 부모님이 많았습니다. 워낙 고운 입자라 조금만 움직여도 쉽게 날리기 때문에 치료실에서도 사용하지 않을때는 뚜껑을 꼭 닫아놓고 있습니다. 또한 장난감 사이에 모래가 끼면 빼기 어려워서 고장나는 장난감도 많아 주의가 필요합니다. 이러한 단점이 있지만 모래놀이는 언어뿐 아니라 심리 정서적인 부분에서도 다양한 효과가 있습니다. 아동의 발달에는 시각, 청각, 촉각 등 다양한 자극이 필요합니다. 모래놀이는 이렇게 다양한 자극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놀이에 별로 흥미가 없고 집중이 짧은 아동에게는 좋은 놀이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치료실 안을 훑어보며 이것 저것 만지다가 겨우 선택하더라도 하나의 장난감을 1분도 못가지고 노는 아이들이 있습니다. 대부분 주의집중 시간이 매우 짧고 공동주의집중이 어렵거나 놀이방법을 모르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그럴때 모래놀이치료를 권해드리거나 제가 직접 모래놀이를 함께 하기도 합니다. 단순히 모래장난이라고 생각하시는 어머님들도 계시지만 아이와 함께 모래를 가지고 놀이하는 방법을 알려드리면 대부분 만족해하셨습니다.
다양한 효과를 가진 모래놀이는 언어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어 집에서 혹은 놀이터에서라도 아이들과 즐겨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언어발달 치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순언어발달지연 단어인출 중재방법! (0) | 2021.04.12 |
---|---|
역할놀이를 통해 화용언어 확장시키는 방법 (0) | 2021.04.06 |
지적장애 아동의 단기 기억력 높이는 방법과 단어인출 (0) | 2021.04.04 |
무발화 아동의 PECS 훈련 방법 정리 (0) | 2021.04.03 |
설명하기를 통해 어휘 및 화용언어 늘리는 방법 (0) | 2021.04.02 |
댓글